백업
뭐니뭐니해도 서버의 수명을 살리기위해 중앙컴퓨터를 백업해놓으면 나중에라도 장애가 발생시 손쉽게 Active
directory 서버를 복구 할 수있다. 간단하게 백업하는 방법을 실습 해보도록 하겠다.
1. 일단 백업할 DC Server에서 ntdutil 이라는 백업 명령어를 통해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2. 일단 백업파일을 만들기전에 ntds의 활성 인스턴스를 설정하는 명령어인 Activate Instance ntds 명령어를 입력한다.
3. 이 후 ifm 명령어를 통해 전체 AD DC Sysvol 을 포함 미디어 파일 들을 지정한 폴더에 만드는 명령어를 입력한
다. (create sysvol full [백업폴더 만들경로] c:\ifm) 이렇게 되면 지정한폴더에 백업파일이 만들어진다.
[백업받을 컴퓨터 서버 시점]
1. 백업 받을 컴퓨터 서버를 도메인 관리자계정으로 로그인하여 \\dc\c$ 경로로 접속 해보면 Active
Directory 서버로 접속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이 ifm 파일을 net use [만들 네트워크드라이브 식별자] [경로]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생성하여
가져온다.
3. 명령어를 실행하면 콘솔에 ' 명령어를 잘 실행했습니다. ' 라는 결과가 나온다.
4. 내 컴퓨터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그림과같이 Z:드라이브 볼륨이 생성 된것을 알 수있다. 이 안에 네트워크 백
업 파일이 들어있다.
5. c드라이브에 ifm 이라는 폴더를 하나 만들어 두고 이것을 robocopy 라는 안전하고 견고한 복사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백업파일을 현재 서버 컴퓨터로 안전하게 복사한다.
6. robocopy z: c:\ifm /copyall /s 명령어를 통해 나의 서버컴퓨터로 복사한다.
7. 이 후의 밑의 글인 windows server 설치 과정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를 실행하여 설치한다. 다른 점은
추가 옵션에서 미디어의 설치 탭을 선택 후 아까 받아두었던 ifm폴더를 지정하여 설치하면 끝난다.
이상 포스트를 마치고 다음 글은 읽기전용의 Active directory 인 RODC를 만들어 보는 것과 서버가 다운되었을
때 FSMO (Flexible Single Master Operation)를 수행해야 하는 DC컴퓨터의 작업마스터의 권리를 가져오는 실
습을 해보도록 하겠다.
'OS > windsow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SFO 에 관하여 PDC가 꺼졌을 경우 BDC서버의 대처법. (0) | 2015.09.11 |
---|---|
커멘드 명령어를 이용한 아이디,OU계정관리 (0) | 2015.09.11 |
계정정책관리 첫번째 -계정 (제어판 접근 막아보기) (0) | 2015.09.09 |
windows server Active Directory 설치 -2 (0) | 2015.09.07 |
windows Server Active Directory 설치 -1 (0) | 201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