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Active Directory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이 후에 오른쪽 탭의 상태 깃발에서 배포 후 구성/이 서버를 도메인 컨
트롤러로 승격 탭을 눌러 진행한다.
4. 순서에 다라 계속 진행하면 된다.
5. NetBIOS는 설정한 도메인의 앞자리를 따서 만들어진다.
6. 배포가 완료되었다면 그림과 같은 상태가 만들어진다. 이 후 자동으로 재부팅 된다. 재부팅해서 로그인창을 보
면 로컬이였던 로그인창이 설정되었던 PINEAPPLE 로 바뀐것을 볼 수있다. Active Directory 설치는 완성되었다.
다음은 다른 서버 컴퓨터를 Active Directory에 연결하는 과정을 알아보겠다.
<연결 할 다른 컴퓨터 시점>
7. 그림과같은 순서대로 서로 진행 후 ipv4 속성에서 DNS서버에 active directory 서비스를 배포하고있는 컴퓨터 서버의 ip주소를 적는다. (배포서버(DC)는 고정ip)
8. 다음 만들었던 Active directory에 접근하기위해 설정한 도메인을 이용하여 접근한다.
그럼 이제 Active directory와 다른 컴퓨터는 도메인이라는 매체로 하나로 연결 된 것을 알 수있다. 여기서 Active
directory 관리자로 접속하면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능으로 원격으로 서버를 관리 할 수있는 이점을 가지
고 있다. 일단 여기서 끊고 이어지는 글 은 메인 데이터센터의 백업데이터를 가져와보는 실습을 해볼까한다.
'OS > windsow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SFO 에 관하여 PDC가 꺼졌을 경우 BDC서버의 대처법. (0) | 2015.09.11 |
---|---|
커멘드 명령어를 이용한 아이디,OU계정관리 (0) | 2015.09.11 |
계정정책관리 첫번째 -계정 (제어판 접근 막아보기) (0) | 2015.09.09 |
winsdows server Active Directory 응용 (백업) (0) | 2015.09.07 |
windows Server Active Directory 설치 -1 (0) | 201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