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SNMP 란
@ SNMP 정의
서버 및 다른 컴퓨터 자산을 관리 할 때 ICMP 프로토콜을 통해 장비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장비가 잘 동작하는지 동작한다면 어느정도의 응답시간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여 네트워크의 정상동작 유무를 알 수 있었음.
간단한 네트워크는 ICMP 대표 도구인 Ping 만으로도 관리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점점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 되고, 네트워크 구성도 점점 복잡해지고, 스위치에 연결된 호스트들도 증가하면서 Ping 만으론 한계가 있었음.
새로운 기술 및 프로토콜이 필요 했고, 이에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 되었고,
SGMP 라는 프로토콜이 개발 되었고 SGMP 를 사용하면서 불편함과 복잡성을 가진 기능을 개선을 통해 탄생 한 것이 SNMP 이다.
@ SNMP 기능
1) 네트워크 구성 관리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들이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대략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 할 수 있다.
2) 성능 관리
각 네트워크 자산간의 네트워크 사용량, 처리속도, 등 네트워크 성능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여 알 수 있다.
3) 장비관리
각 자산의 시스템 사양 및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트러블 슈팅 및 초기 모니터링 관리 대응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SNMP 프로토콜 구분
3.1 정보 운반 프로토콜
서로간의 정보를 주고 받는데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포트 번호 : 161번 (통상의 메세지), 162번 (트랩 메세지)
3가지 주요 동작 패턴 : Get, Set, Trap
@ 관리 정보 프로토콜
정보 구조 : SMI 및 MIB 라는 다른 2개의 정보 구조를 설명하는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
SMI (Structure of Management Information) : 관리정보구조
SNMP 관리 정보의 표현 구문 문법 등을 규정
변수 작명`,`변수 유형`,`객체 및 값들을 부호화` 등의 규칙
장비 마다 다르게 표현될 수 있는 MIB 객체의 표현 동질성을 유지하는 표준
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 : 관리 대상을 규격화한 정보 모음
관리 특성을 묘사하는 변수 객체들의 모음
정보 식별 (망관리 대상 객체 식별 체계)
OID : 트리 형태의 계층구조 (Tree Hierarchy)
식별된 관리 정보와 관련된 값을 계층화된 데이터베이스 MIB에서 저장/유지/관리
@ NMS 네트워크 관리 프레임워크 (Network Management Framework)
SNMP는 Manager와 Agent 로 나뉘고 SNMP 프로토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항목은 MIB와 OID이다.
@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와 OID
관리되는 Agent의 SNMP 를 통해 정해 질 수 있는 정보묶음객체 들을 말함. 아래 그림과 같이 트리 구조로 이루어짐. SNMP 로 관리되는 대상은 아래 그림처럼 구별되어 객체가 관리됨
OID의 경우 MIB를 찾아가는 주소라고 볼 수 있음. 예를들어 ip를 찾아가겠다 하면 1.3.6.1.2.1.4 의 OID를 통해 ip객체에 접근하여 SNMP 프로토콜을 통해 받아 올 수 있음.
출처 : http://www.networkmanagementsoftware.com/snmp-tutorial-part-2-rounding-out-the-basics/
'KITRI >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터디 HTTP 헤더 분류 (0) | 2017.07.07 |
---|---|
SNMP Cacti 연동실습 (0) | 2017.06.12 |
스터디 CCNA 1-20 (2017년시험기준) (0) | 2017.05.29 |
스터디 HSRP 개념 실습 (0) | 2017.05.22 |
이중화 및 로드밸런싱 (0) | 2017.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