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winsdows

windows 커멘드(cmd) 간단한 명령어

nslookup : dns서버를 이용하여 도메인을 입력하면 ip를 알 수 있음

ex:) nslookup www.google.com

 

 

arp (-a,-s) -a 주변에 연결되어있는거나 되었던 컴퓨터의 MAC주소 테이블을 보여줌

    -s 고정적으로 컴퓨터의 맥주소를 등록함

    ex: arp -s (ip주소) (mac주소) 

 

 

route (PRINT) : 내부 내트워크 내의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해주는 명령어. 

ex :) ROUTE PRINT

 

네트워크대상 :  목적지 ip주소

네트워크마스크 :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 일반적으로 라우터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터페이스 : 자신의 랜카드에 할당된 ip주소를 말함.

매트릭 : 자신의 패킷이 경로를 찾지못하면 네트워크상에서 루핑된다. 이것을 방지하기위해 패킷의 생명력을 만들어 둔것.

 

첫번쨰 네트워크 주소 0.0.0.0 은 모든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나가면 나와있는 게이트웨이로 나간다는 뜻이다. (1번쨰 줄의 경우 게이트웨이 주소가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 결론적으로 내가 보낼 ip가 다른 서브넷에 있다면 해당 게이트웨이 주소로 보내란 뜻이다. 

2번째는 루프백 네트워크 주소이다.

192.168.0.0 은 내부내트워크 주소를 나타내며 그외에 브로캐스트 주소나 다른 네트워크 주소와 게이트웨이가 나타나고있다. 

tracert (dse ip 주소) : 목적지 ip주소까지 거쳐가는 라우터주소와 경로홉수 를 보여줌.

 

 

 

netstat -a = 현재 수신되고있는 연결된 포트를 보여줌

netstat -r = 라우팅 테이블을 표시